서기관 급수 직급 하는일(연봉표 사무관 차이 되는법)

우리나라 공무원 급수 중 서기관이란 어떤 직급인지 알려드리겠습니다. 1급~9급 중 몇 급에 해당하는 공무원인지, 하는 일과 연봉은 얼마나 받는지 알려드리겠습니다. 그리고 많이들 헷갈려하시는 사무관과 서기관의 차이 그리고 서기관이 되는 방법까지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서기관이란?

서기관은 대한민국 공무원 4급에 해당하는 직위입니다. 서기관은 주로 중앙부처, 지방자치단체 및 국가기관에서 행정과 정책의 기획 및 관리업무를 수행합니다.

공무원 4급은 공무원 조직에서 상위직급에 해당합니다. 서기관이 되기 위해서는 행정고시를 통해 5급으로 들어와 승진한 경우가 많습니다. 일반적으로 5급에서 4급으로 승진까지 걸리는 기간은 10년~15년 정도입니다. 오늘은 서기관이란 직급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1. 서기관 급수

대한민국 공무원의 직급은 1급~9급이 있습니다. 각 직급을 부르는 명칭은 일반직 공무원의 경우 다음과 같습니다.

  • 1급 : 관리관
  • 2급 : 이사관
  • 3급 : 부이사관
  • 4급 : 서기관
  • 5급 : 사무관
  • 6급 : 주사
  • 7급 : 주사보
  • 8급 : 서기
  • 9급 : 서기보

이 중 서기관의 직급 급수는 4급입니다. 공무원 사회에서 서기관은 중간관리자에서 고위직으로 넘어가는 단계에 있는 급수입니다. 일반적으로 행정고시를 통해 들어온 5급 사무관에서 승진해 4급 사무관이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2. 서기관 하는일

서기관은 공무원 조직에서 상위 관리직급에 속합니다. 구체적인 업무의 범위는 어떤 부처에서 근무하느냐에 따라 다릅니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정책의 조정 및 감독, 조직운영, 예산관리, 보고서 작성, 부처 간 협력 업무 등을 수행합니다.

서기관은 중요한 의사결정 권한을 가지며, 차관 및 장관급 등의 고위직 공무원에게 정책을 보고하는 역할을 수행하기도 합니다. 주로 정책보고서, 행정평가보고서, 예산계획서, 감사대응보고서 등을 작성합니다.

3. 서기관 연봉표

공무원의 경우 인사혁신처에서 매년 공무원 봉급표라는 이름으로 연봉표를 공개합니다. 4급 서기관의 연봉을 확인할 수 있는 봉급표를 알려드리겠습니다.

일반직 공무원 서기관의 경우 호봉에 따라 연봉이 결정됩니다. 위의 호봉은 월 단위이며 연봉은 기본급 이외에 각종 수당(직급 보조비, 정근수당, 가족수당 등)과 성과급이 합쳐져 결정됩니다.

4급 서기관의 경우 경력 연차와 근무 기관에 따라 상이하지만 일반적으로 7천만원~9천만원의 평균 연봉을 받습니다.

4. 서기관 사무관 차이

서기관은 4급 공무원이며, 사무관은 5급 공무원입니다. 서기관이 정책의 기획과 조직의 운영을 맡는 상위 관리자라면 사무관이 행정업무를 총괄하는 실무형 관리자라고 보면 됩니다.

즉, 서기관이 전체적인 방향을 잡아주면 사무관이 실무 업무를 담당해 수행하게 되는 것입니다.

5. 서기관 되는법

서기관이 되는 방법은 일반적으로 행정고시에 합격해 들어온 5급 사무관이 약 10년간 경력을 쌓고 진급해 승진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또 다른 케이스로는 7급 공무원으로 입직 후 승진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7급에서 시작해 6급 주사로 승진 후 5급 사무관을 거쳐 4급 서기관이 되는 것입니다. 7급 공무원에서 4급 서기관까지는 평균적으로 약 20~25년 정도가 소요됩니다.

하지만 연차가 쌓인다고 자연스럽게 승진하는 것은 아닙니다. 근무실적과 평가를 좋게 받고 교육 및 연수에 참여해야 합니다. 또한 주요부서에서 근무하거나 타 부처와의 협력 경험 등이 많아야 승진에 유리합니다.

관련 포스팅

시의원이 어떤 일을 하는지 궁금하신가요? 시의원이 되는 법과 국회의원과는 어떤 차이가 있는지 궁금하신 분들은 아랫글을 참고해 보시기 바랍니다.

시의원 하는일?

국회의원 보좌관은 어떤일을 할까요? 국회의원 보자관이 되는법부터 어떤 스펙을 가지고 있어야 채용이 될 수 있는지 다양한 정보를 알려드리겠습니다.

국회의원 보좌관 하는일?

요약

대한민국 공무원 중 4급 공무원인 서기관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서기관의 하는일과 연봉 그리고 사무관과의 차이 등에 대해 알게 되는 계기가 되셨을거라고 생각합니다.

  1. 서기관이란 우리나라 공무원 체계 중 4급에 해당하는 직급입니다.
  2. 서기관은 정책수립, 행정운영, 에산관리, 다른 부처와의 협력 등의 업무를 수행합니다.
  3. 서기관 연봉은 인사혁신처의 연도별 봉급표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4. 4급 서기관과 5급 사무관의 차이에 대해 알려드렸습니다.
  5. 서기관이 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소개해 드렸습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직장생활 서포터, 잡포트
Jobpport